가상 머신에 윈도우7이 40여기가를 사용중이다.
이를 windows 10으로 업그레이드 하였더니 58기가나 되고 가상 머신 이미지가 너무 크다.
windows 7을 클린 설치 한 후
windows 10으로 업그레이드를 하기위해 윈도우 업데이트를 한 후 역시 엄청난 크기의 이미지 파일이다.
최대한 windows 10이 설치된 가상 머신의 크기를 줄여 보기위해 다음과 같이 하였다.
windows 8.1 클린 설치
windows 10으로 업그레이드
탐색기를 통해서 보면
C:\에 $windows 디렉토리가 두개보이고
ESD 디렉토리
그리고 Windows.old 디렉토리가 있다.
이전 윈도우와 윈도우 설치관련 폴더 들이다. 이것을 제거 하면 순수한 Windows 10 가상 머신 이미지를 얻을수 있다.
디스크 정리를 한번 수행 한후
두번째 디스크 정리 화면에서 이전윈도우와 설치 임시 파일을 선택하여 디스크 정리를 하면
모든 용량을 회수 할수 있다.
2015년 9월 24일 목요일
2015년 8월 15일 토요일
S.M.A.R.T. (Self-Monitoring Analysis and Reporting Technology)
맥미니 SSD 문제는 지금까지 사용해 보니 완전히 해결 된것 으로 보인다.
ifixit 의 2012 late용 sata 케이블은 삼성 SSD 840 pro와 무언가 호환성에 문제가 있는 것 으로 보인다.
이것은 잠재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내가 1년전 2014년 4월 처음 SSD를 장착하고 퓨전 드라이브를 처음 구성 하였을때 부터 문제를 가지고 있었지만 퓨전 드라이브의 특성상 HDD와 SSD가 읽기 / 쓰기를 동시에 하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점이 들어 나지 않았던 것이다.
그리고 당시에도 SSD trim enable을 하자 나자 부팅시에 문제가 발생 했던 기억이 있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최초에도 문제는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디스크의 SMART 정보를 얻는 OS X 앱 두가지를 수행해 보니 SSD에 남은 기록으로 199번 CRC에러가 Count 176364번 발생 했다.
이러한 정보는 두가지 앱으로 확인이 가능 하다.
http://binaryfruit.com/drivedx
DriveDx
http://www.volitans-software.com/apps/smart-utility/
SMART Utility
좀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수 있는 것은 DriveDx 이지만 trial 기간이 만료 되었다.
CRC 에러의 마지막 카운트는 2015년 8월 3일로 기록된다.
내가 SSD와 HDD의 위치 (케이블) 을 바꿔 설치 한 이후 기록이 없다.
또한 HDD는 ifixit 사의 케이블에 연결 되어 있어도 CRC에러가 발생 하지 않고 있다.
현재 2012맥미니 SSD는 요세미티 10.10.4 버젼에서 추가된 trimforce enable 기능으로
트림 까지 활성된 상태에서 더이상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아주 퀘적한 퓨전 드라이브 성능을 내고 있다.
결국 지금까지 나를 고생시킨 SSD 디스크 문제는 이로서 완치 판정을 받았다고 할수 있겠다.
ifxit의 케이블도 고장이 아니라 단지 삼성 SSD와의 호환성 문제인듯 하다.
ifixit 의 2012 late용 sata 케이블은 삼성 SSD 840 pro와 무언가 호환성에 문제가 있는 것 으로 보인다.
이것은 잠재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내가 1년전 2014년 4월 처음 SSD를 장착하고 퓨전 드라이브를 처음 구성 하였을때 부터 문제를 가지고 있었지만 퓨전 드라이브의 특성상 HDD와 SSD가 읽기 / 쓰기를 동시에 하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점이 들어 나지 않았던 것이다.
그리고 당시에도 SSD trim enable을 하자 나자 부팅시에 문제가 발생 했던 기억이 있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최초에도 문제는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디스크의 SMART 정보를 얻는 OS X 앱 두가지를 수행해 보니 SSD에 남은 기록으로 199번 CRC에러가 Count 176364번 발생 했다.
이러한 정보는 두가지 앱으로 확인이 가능 하다.
http://binaryfruit.com/drivedx
DriveDx
http://www.volitans-software.com/apps/smart-utility/
SMART Utility
좀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수 있는 것은 DriveDx 이지만 trial 기간이 만료 되었다.
CRC 에러의 마지막 카운트는 2015년 8월 3일로 기록된다.
내가 SSD와 HDD의 위치 (케이블) 을 바꿔 설치 한 이후 기록이 없다.
또한 HDD는 ifixit 사의 케이블에 연결 되어 있어도 CRC에러가 발생 하지 않고 있다.
현재 2012맥미니 SSD는 요세미티 10.10.4 버젼에서 추가된 trimforce enable 기능으로
트림 까지 활성된 상태에서 더이상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아주 퀘적한 퓨전 드라이브 성능을 내고 있다.
결국 지금까지 나를 고생시킨 SSD 디스크 문제는 이로서 완치 판정을 받았다고 할수 있겠다.
ifxit의 케이블도 고장이 아니라 단지 삼성 SSD와의 호환성 문제인듯 하다.
2015년 8월 4일 화요일
최근 맥미니 퓨전 드라이브 부팅 이상 증상에 대한 결론
1년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삼송SSD 840pro를 구매하고
1TB 디스크로 이용 하던 맥미니에 세컨드 베이에 SSD를 장착 (ifixit dual drive kit)
커맨드라인을 이용해 퓨젼드라이브구성
타임머신을 통해 복원 사용 정상동작
http://mtsparrow.blogspot.kr/2014/05/2012-late-mac-mini-fusion-drive.html
첫번째 패닉
트림 인에이블 (kext 수정) --> 패닉 (부팅시 금지 표시)
타임머신 복원으로 정상 동작 트림 off로 사용하기로 함
1년간 아무런 문제 없이 사용 그동안 OS는 메버릭스에서 요세미티로 업그레이드가 되었다.
두번째 패닉
요세미티 10.10.3
퓨전드라이브에서 특정 파일을 읽지 못하는 경우가 생겼다.
http://mtsparrow.blogspot.kr/2015/06/os-x-disk-utility-exit-code-8-on-fusion.html
결국 퓨젼드라이브를 포멧 하고 타임머신 복원을 하였다.
빈번한 패닉
요세미티 10.10.4
공식적으로 트림을 지원하게 되어 sudo trimforce enable을 수행 하였다.
이번에도 부팅 중 경고 표지판이 발생 하였다.
http://mtsparrow.blogspot.kr/2015/07/10104-error-loading-kernel-cache-0x6.html
부팅 실패 발생이 점점 빈번해 지고
타임머신 복원으로 회생을 자주 해야 했다.
매일 같이 불안해 하며 맥을 사용 했다. 멘붕!
해법1
퓨젼드라이브를 포기 하자
퓨전 드라이브 해제를 터미널에서 입력 하였다.
해제 되었고 각각의 ssd와 hdd를 포멧 하기 위해 diskutil을 실행 하였더니
팝업이 뜨고 fix를 누르니 다시 퓨전 드라이브로 묶어 주었다.
--> 사실 이제는 터미널에서 명령으로 퓨전을 묶을 필요가 없어진듯 하다.
다시 퓨젼을 구성되어 먼가 다를 거라 믿고 타임머신 복원을 하였다.
빡세게 사용 해주니 다시 부팅 실패가 발생 하였다.
해법2
플렌은 이러하다 타임머신 외장 1tb에도 공간이 없기 때문에 일단 HDD 1TB에 타임머신 복원을 하고 SSD에 클린 설치를 한다음 1tb에 지울것은 지우고 그냥 데이터로 쓰자 는 계획 이었다.
퓨전을 해제 하고 1TB HDD에 복원 하였다. 정상 동작 한다.
cmd + R부팅으로 SDD에 클린 설치 시도 하였다.
실패!
추론 : SSD에 먼가 문제가 있다.
맥미니를 분해해서 SSD를 추출 하였다.
바로 삼성 서비스 센터에 갔다.
AS실패 헐! 이런 내가 병행수입을 구매 했던것 같다.
해법3
SSD를 추출할때 다시 장착하기 편하게 하기위해 1TB HDD를 깊숙한 곳 (세컨드 베이)에 장착 을 했다. 다시 SSD를 원래 HDD자리에 장착을 했다.
SSD와 HDD의 위치가 바뀐 상태에서 SSD에 OS X 클린설치를 하니 설치가 원샷에서 성공 하였다.
추론: 케이블 문제!
그렇다. 케이블 문제 ifixit에서 구매한 세컨드 드라이브 sata케이블 요게 문제인거 같다.
해법4
SSD에 클린설치 OS X와 HDD에 타임머신 복원 사본으로 데이터를 정리 하고 사용하려고 했다.
그러다가 귀차니즘이 몰려오고 케이블이 문제였고 SSD가 원래 HDD케이블에 문제 없는 곳에 설치 된다면 부팅중에 문제 정도는 발생하지 않고 퓨전을 연결 하여 잘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가 HDD쪽으로 가서 데이터 읽을때 발생 하지 않을 까 하는 안일한 생각으로
다시 퓨젼으로 묶고 타임머신 복원을 하였다.
지금 까지는 문제가 없다.
단지 디스크 위치 만 조정 했을 뿐이다.
인터넷을 찾아 보면 ifxit 케이블과 SSD 840pro 문제에 대한 글타레도 있긴 하다.
그렇다고 OWC 케이블을 다시 구매 하기도 애매 하고 이대로 제발 문제가 발생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1TB 디스크로 이용 하던 맥미니에 세컨드 베이에 SSD를 장착 (ifixit dual drive kit)
커맨드라인을 이용해 퓨젼드라이브구성
타임머신을 통해 복원 사용 정상동작
http://mtsparrow.blogspot.kr/2014/05/2012-late-mac-mini-fusion-drive.html
첫번째 패닉
트림 인에이블 (kext 수정) --> 패닉 (부팅시 금지 표시)
타임머신 복원으로 정상 동작 트림 off로 사용하기로 함
1년간 아무런 문제 없이 사용 그동안 OS는 메버릭스에서 요세미티로 업그레이드가 되었다.
두번째 패닉
요세미티 10.10.3
퓨전드라이브에서 특정 파일을 읽지 못하는 경우가 생겼다.
http://mtsparrow.blogspot.kr/2015/06/os-x-disk-utility-exit-code-8-on-fusion.html
결국 퓨젼드라이브를 포멧 하고 타임머신 복원을 하였다.
빈번한 패닉
요세미티 10.10.4
공식적으로 트림을 지원하게 되어 sudo trimforce enable을 수행 하였다.
이번에도 부팅 중 경고 표지판이 발생 하였다.
http://mtsparrow.blogspot.kr/2015/07/10104-error-loading-kernel-cache-0x6.html
부팅 실패 발생이 점점 빈번해 지고
타임머신 복원으로 회생을 자주 해야 했다.
매일 같이 불안해 하며 맥을 사용 했다. 멘붕!
해법1
퓨젼드라이브를 포기 하자
퓨전 드라이브 해제를 터미널에서 입력 하였다.
해제 되었고 각각의 ssd와 hdd를 포멧 하기 위해 diskutil을 실행 하였더니
팝업이 뜨고 fix를 누르니 다시 퓨전 드라이브로 묶어 주었다.
--> 사실 이제는 터미널에서 명령으로 퓨전을 묶을 필요가 없어진듯 하다.
다시 퓨젼을 구성되어 먼가 다를 거라 믿고 타임머신 복원을 하였다.
빡세게 사용 해주니 다시 부팅 실패가 발생 하였다.
해법2
플렌은 이러하다 타임머신 외장 1tb에도 공간이 없기 때문에 일단 HDD 1TB에 타임머신 복원을 하고 SSD에 클린 설치를 한다음 1tb에 지울것은 지우고 그냥 데이터로 쓰자 는 계획 이었다.
퓨전을 해제 하고 1TB HDD에 복원 하였다. 정상 동작 한다.
cmd + R부팅으로 SDD에 클린 설치 시도 하였다.
실패!
추론 : SSD에 먼가 문제가 있다.
맥미니를 분해해서 SSD를 추출 하였다.
바로 삼성 서비스 센터에 갔다.
AS실패 헐! 이런 내가 병행수입을 구매 했던것 같다.
해법3
SSD를 추출할때 다시 장착하기 편하게 하기위해 1TB HDD를 깊숙한 곳 (세컨드 베이)에 장착 을 했다. 다시 SSD를 원래 HDD자리에 장착을 했다.
SSD와 HDD의 위치가 바뀐 상태에서 SSD에 OS X 클린설치를 하니 설치가 원샷에서 성공 하였다.
추론: 케이블 문제!
그렇다. 케이블 문제 ifixit에서 구매한 세컨드 드라이브 sata케이블 요게 문제인거 같다.
해법4
SSD에 클린설치 OS X와 HDD에 타임머신 복원 사본으로 데이터를 정리 하고 사용하려고 했다.
그러다가 귀차니즘이 몰려오고 케이블이 문제였고 SSD가 원래 HDD케이블에 문제 없는 곳에 설치 된다면 부팅중에 문제 정도는 발생하지 않고 퓨전을 연결 하여 잘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가 HDD쪽으로 가서 데이터 읽을때 발생 하지 않을 까 하는 안일한 생각으로
다시 퓨젼으로 묶고 타임머신 복원을 하였다.
지금 까지는 문제가 없다.
단지 디스크 위치 만 조정 했을 뿐이다.
인터넷을 찾아 보면 ifxit 케이블과 SSD 840pro 문제에 대한 글타레도 있긴 하다.
그렇다고 OWC 케이블을 다시 구매 하기도 애매 하고 이대로 제발 문제가 발생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2015년 7월 8일 수요일
맥미니 부팅 실패 10.10.4 Error loading kernel cache (0x6)
맥미니 2012 late 버젼 1TB 모델에서
SSD를 추가로 장착 하고 바로 퓨전드라이브를 구성 하였다.
기존에 1TB에서 사용하던 상태를 타임머신으로 백업 해둔것을 퓨전으로 구성하고 바로 복원 하였다.
퓨전드라이브 덕에 엄청 빠른속도로 업데이트된 맥미니를 경험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서드 파티 디스크라서 트림을 활성 하기 위해 당시 kext 편집으로 서정을 하고
트림 지원 : 예
이렇게 변경 되는 것을 보며 뿌듯 해 하다가 제부팅시에 경고 표지판과 함께 부팅 실패를 경험 했다.
4시간이 넘는 타임머신 복원에 쓰디쓴 고통을 격고 붕어처럼 반복되는 행동 트림 활성 --> 패닉 --> 타임머신 복원 --> 트림 활성 --> 패닉
아하!
결국 트림 비활성으로 1년 넘게 잘 사용 했다.
http://mtsparrow.blogspot.kr/2015/06/os-x-disk-utility-exit-code-8-on-fusion.html
그러던 어느날 엑세스 할수 없는 파일이 생기고 디스크 유틸리티로 검사를 하니 exit code 8을
만나고 복구 모드 부팅으로 디스크 유틸리티로 검사와 복구로 수정이 안되어서
타임머신 복원 --> 패닉 --> 포멧 --> 타임머신 복원 --> 성공
이렇게 몇일 사용 하였다.
그러던 어느날 10.10.4 OS에서 서드 파티 SSD에 대한 트림을 지원하는 버젼이 업데이트 되었다.
바로 trimforce enable 명령으로 트림을 활성 하였다.
잘되는듯 동작 했다.
트림 지원 : 예
이 글과 벤치마킹을 하면 속도가 꺽는 모습을 보이고 나름 기분이 좋았다.
그러나!
다시 부팅 실패가 발생했다. 이번에는 어떻게 해서든 원인을 찾아내고 해결 하고 싶었다.
4시간에 타임머신 복원은 너무 괴롭고 힘들어서 정말 해결 하고 싶었다.
그리고 타임머신 복원을 하면 항상 windows 7 패러럴 가상머신이 사라지는 문제도 너무 지겨웠다.
오늘은 원인을 찾고 싶었다. 하지만 아직은 동작을 잘해서 그냥 트림 활성 상태로 사용할까 하는 생각이 드는 순간 갑자기 머라머라 문제가 있다고 하며 시스템이 제부팅 되었고 경고 표지판과 함께 복구 부팅이 이루어 졌다.
여기서 타임머신 복원을 하면 언제든 같은일이 반복되기 때문에 이번에는 원인을 찾기 위해
CMD + V로 부팅을 했더니
이러한 메세지 이후 경고 표지판으로 가고 그다음 복구 모드로 부팅이 이루어진다.
안전 모드 부팅을 하니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부팅을 하기도 한다.
결국 trimforce disable을 수행 시켰다.
제부팅을 할때 CMD+V를 수행 했다.
이제는 그러한 메세지 없이 부팅이 되고 있다.
어째든 당분간 해결 되었다.
이번엔 타임머신 복원 없이 해결 했다.
하지만 언제든 문제가 발생할수 있다.
삼성 SSD 840 PRO 가 별로 않좋은듯 하다.
나중에 백업용 디스크 공간이 확보 되면 타임머신이 아닌 직접 복사로
사진, 코드, 등에 백업해야 하는 데이터를 복사로 백업 하고
퓨전디스크를 푼다음 OS 를 클린 설치 해야 겠다.
SSD를 추가로 장착 하고 바로 퓨전드라이브를 구성 하였다.
기존에 1TB에서 사용하던 상태를 타임머신으로 백업 해둔것을 퓨전으로 구성하고 바로 복원 하였다.
퓨전드라이브 덕에 엄청 빠른속도로 업데이트된 맥미니를 경험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서드 파티 디스크라서 트림을 활성 하기 위해 당시 kext 편집으로 서정을 하고
트림 지원 : 예
이렇게 변경 되는 것을 보며 뿌듯 해 하다가 제부팅시에 경고 표지판과 함께 부팅 실패를 경험 했다.
4시간이 넘는 타임머신 복원에 쓰디쓴 고통을 격고 붕어처럼 반복되는 행동 트림 활성 --> 패닉 --> 타임머신 복원 --> 트림 활성 --> 패닉
아하!
결국 트림 비활성으로 1년 넘게 잘 사용 했다.
http://mtsparrow.blogspot.kr/2015/06/os-x-disk-utility-exit-code-8-on-fusion.html
그러던 어느날 엑세스 할수 없는 파일이 생기고 디스크 유틸리티로 검사를 하니 exit code 8을
만나고 복구 모드 부팅으로 디스크 유틸리티로 검사와 복구로 수정이 안되어서
타임머신 복원 --> 패닉 --> 포멧 --> 타임머신 복원 --> 성공
이렇게 몇일 사용 하였다.
그러던 어느날 10.10.4 OS에서 서드 파티 SSD에 대한 트림을 지원하는 버젼이 업데이트 되었다.
바로 trimforce enable 명령으로 트림을 활성 하였다.
잘되는듯 동작 했다.
트림 지원 : 예
이 글과 벤치마킹을 하면 속도가 꺽는 모습을 보이고 나름 기분이 좋았다.
그러나!
다시 부팅 실패가 발생했다. 이번에는 어떻게 해서든 원인을 찾아내고 해결 하고 싶었다.
4시간에 타임머신 복원은 너무 괴롭고 힘들어서 정말 해결 하고 싶었다.
그리고 타임머신 복원을 하면 항상 windows 7 패러럴 가상머신이 사라지는 문제도 너무 지겨웠다.
오늘은 원인을 찾고 싶었다. 하지만 아직은 동작을 잘해서 그냥 트림 활성 상태로 사용할까 하는 생각이 드는 순간 갑자기 머라머라 문제가 있다고 하며 시스템이 제부팅 되었고 경고 표지판과 함께 복구 부팅이 이루어 졌다.
여기서 타임머신 복원을 하면 언제든 같은일이 반복되기 때문에 이번에는 원인을 찾기 위해
CMD + V로 부팅을 했더니
이러한 메세지 이후 경고 표지판으로 가고 그다음 복구 모드로 부팅이 이루어진다.
안전 모드 부팅을 하니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부팅을 하기도 한다.
결국 trimforce disable을 수행 시켰다.
이제는 그러한 메세지 없이 부팅이 되고 있다.
어째든 당분간 해결 되었다.
이번엔 타임머신 복원 없이 해결 했다.
하지만 언제든 문제가 발생할수 있다.
삼성 SSD 840 PRO 가 별로 않좋은듯 하다.
나중에 백업용 디스크 공간이 확보 되면 타임머신이 아닌 직접 복사로
사진, 코드, 등에 백업해야 하는 데이터를 복사로 백업 하고
퓨전디스크를 푼다음 OS 를 클린 설치 해야 겠다.
2015년 7월 7일 화요일
타임머신 백업에서 복원 하면 항상 Windows 7.pvm 파일이 누락된다.
이상한 현상이 발생하는데 어디에서도 답을 찾을수가 없다.
퓨전드라이브 구성후 SSD트림 enable 하다가 OS 패닉으로 최초 타임머신 복원을 했을때도 모두 복원 되었지만 win7 패러럴 이미지가 복원 되지 않았다.
당시에도 맥북프로에서 .pvm을 통재로 복사한후 임포트 하였다.
최근에 퓨전드라이브가 뽀개 져서 타임머신 복원을 하니 또 많은 가상 머신 파일중에 win7 만 사라 졌다.
10.10.4 업데이트후 trim enable을 하고 원인 모를 문제로 부팅이 되지 않아 타임머신 복원을 하였는데 역시나 win7 이미지만 사라 졌다.
결국 이번에는 paralles에 windows 7을 재설치를 해서 직접 가상 머신을 간만에 완전 새로 만들었다.
현재 맥미니 시스템이 불안정해서 언제 문제가 일어 날지도 모르는 상황이지만 든든한 타임머신은 주기적으로 백업되고 있다.
타임머신 시작을 눌러 보면 방근 설치된 windows 7 가상머신이 존재 하는데 복원시에도 있을지 의문이다.
나처럼 특정 파일만 백업이 누락되는 케이스가 있는지 궁금 하다.
퓨전드라이브 구성후 SSD트림 enable 하다가 OS 패닉으로 최초 타임머신 복원을 했을때도 모두 복원 되었지만 win7 패러럴 이미지가 복원 되지 않았다.
당시에도 맥북프로에서 .pvm을 통재로 복사한후 임포트 하였다.
최근에 퓨전드라이브가 뽀개 져서 타임머신 복원을 하니 또 많은 가상 머신 파일중에 win7 만 사라 졌다.
10.10.4 업데이트후 trim enable을 하고 원인 모를 문제로 부팅이 되지 않아 타임머신 복원을 하였는데 역시나 win7 이미지만 사라 졌다.
결국 이번에는 paralles에 windows 7을 재설치를 해서 직접 가상 머신을 간만에 완전 새로 만들었다.
현재 맥미니 시스템이 불안정해서 언제 문제가 일어 날지도 모르는 상황이지만 든든한 타임머신은 주기적으로 백업되고 있다.
타임머신 시작을 눌러 보면 방근 설치된 windows 7 가상머신이 존재 하는데 복원시에도 있을지 의문이다.
나처럼 특정 파일만 백업이 누락되는 케이스가 있는지 궁금 하다.
2015년 6월 24일 수요일
OS X disk utility exit code 8 on fusion disk -- fix
퓨젼 디스크로 묶어서 사용한지 1년이 좀 지났다.
http://mtsparrow.blogspot.kr/2014/05/2012-late-mac-mini-fusion-drive.html
퓨젼디스크로 묶은 상태에서 서드 파티 SSD인 삼성 840pro 에 trim enable을 하다가
OS가 부팅 하지 않는 상황도 있었다.
그러나 그 이후 잘 사용했다.
이제 새로운 OS 에서는 서드 파티 SSD에서도 trim enable이 좀 자유로워 질거라는 글도 보았다.
그런데. 어제 갑자기 맥미니에서 일부 파일이 읽을수 없는 상태가 되고
disk utility를 수행 하니 exit code 8과 함께
재시동을 하고 cmd+R 을 눌러 복구 모드에서 다시 disk utility로 검사 및 수정을 하라는 것이다.
지시 대로 했으나 수정 불가 하다는 메세지와 함께 부팅 실패가 이어지고
결국 타임머신 복원을 시도 했다.
수시간이 지나 아침에 타임머신 복원을 확인 하니 복원은 다 되었으나 디스크 검사는 동일 했다.
구글 검색 결과는
https://discussions.apple.com/thread/6603199?tstart=0
이런글이고
http://osxdaily.com/2013/08/07/how-to-repair-a-mac-disk-with-fsck-from-single-user-mode/
싱글 모드 부팅에서 fsck -fy 로 해결 했다는 글도 있다.
내 경우는 복구 모드 부팅 (cmd+R) 에서 디스크 유틸리티로 포멧을 한다음 타임머신 복원을 했다.
퇴근후 확인 하니 정상이다. 퇴근후에도 또 상태가 삐뽕하면 퓨젼 디스크를 풀어 버리려고 했는데 그나마 다행이다.
trim 문제인지 체감 속도 보단 벤치상 성능이 점점 나빠지고 있었는데 이렇게 포멧후 복원 하니 벤치 성능이 처음과 같아 졌다.
http://mtsparrow.blogspot.kr/2014/05/2012-late-mac-mini-fusion-drive.html
퓨젼디스크로 묶은 상태에서 서드 파티 SSD인 삼성 840pro 에 trim enable을 하다가
OS가 부팅 하지 않는 상황도 있었다.
그러나 그 이후 잘 사용했다.
이제 새로운 OS 에서는 서드 파티 SSD에서도 trim enable이 좀 자유로워 질거라는 글도 보았다.
그런데. 어제 갑자기 맥미니에서 일부 파일이 읽을수 없는 상태가 되고
disk utility를 수행 하니 exit code 8과 함께
재시동을 하고 cmd+R 을 눌러 복구 모드에서 다시 disk utility로 검사 및 수정을 하라는 것이다.
지시 대로 했으나 수정 불가 하다는 메세지와 함께 부팅 실패가 이어지고
결국 타임머신 복원을 시도 했다.
수시간이 지나 아침에 타임머신 복원을 확인 하니 복원은 다 되었으나 디스크 검사는 동일 했다.
구글 검색 결과는
https://discussions.apple.com/thread/6603199?tstart=0
이런글이고
http://osxdaily.com/2013/08/07/how-to-repair-a-mac-disk-with-fsck-from-single-user-mode/
싱글 모드 부팅에서 fsck -fy 로 해결 했다는 글도 있다.
내 경우는 복구 모드 부팅 (cmd+R) 에서 디스크 유틸리티로 포멧을 한다음 타임머신 복원을 했다.
퇴근후 확인 하니 정상이다. 퇴근후에도 또 상태가 삐뽕하면 퓨젼 디스크를 풀어 버리려고 했는데 그나마 다행이다.
trim 문제인지 체감 속도 보단 벤치상 성능이 점점 나빠지고 있었는데 이렇게 포멧후 복원 하니 벤치 성능이 처음과 같아 졌다.
sparrow-mac-mini2:~ sparrow$ diskutil list
/dev/disk0
#: TYPE NAME SIZE IDENTIFIER
0: GUID_partition_scheme *256.1 GB disk0
1: EFI EFI 209.7 MB disk0s1
2: Apple_CoreStorage 255.7 GB disk0s2
3: Apple_Boot Boot OS X 134.2 MB disk0s3
/dev/disk1
#: TYPE NAME SIZE IDENTIFIER
0: GUID_partition_scheme *1.0 TB disk1
1: EFI EFI 209.7 MB disk1s1
2: Apple_CoreStorage 999.3 GB disk1s2
3: Apple_Boot Recovery HD 650.1 MB disk1s3
/dev/disk2
#: TYPE NAME SIZE IDENTIFIER
0: Apple_HFS Macintosh HD *1.2 TB disk2
Logical Volume on disk0s2, disk1s2
D4CE173F-BA80-4E6C-B261-F7D3EF91AEE3
Unencrypted Fusion Drive
어여 요세미티 버젼업이 되던지 새로운 OS에서 서드 파티 SSD trim이 지원 되었으면 좋겟다.
2015년 5월 25일 월요일
라즈베리파이 2 B 모델 리뷰 (recalbox)
회사 동료분에 페북글을 보고 뽐뿌 받아 지른 라즈베리파이
라즈베리파이는 용도를 무엇으로 할거냐에 따라 계속 지름신이 오다 말다 오다 말다 했다.
그 이유는 보통 htpc로 이용함에 있어 이미 mac mini 2007년 모델이 존재 하고 있고
현재 저가형 LED TV에 USB 소켓이 있어서 이제 더이상 htpc로 필요성이 많이 줄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게임 에뮬레이터 머신이라면 이야기가 달라 졌다.
xbox 360으로 인해 이미 무선 컨트롤러를 2개 보유 하고 있고
LG 미니빔 PW-700 과 조합하면 모바일 게임기기로 충분 할듯한 생각이었다.
모든 것은 생각 대로 되었다.
구매 물품은
라즈베리파이 2 B 모델 본체
전용 케이스
iptime mini usb 무선랜
메모리 32GB
xbox 360 무선 컨트롤러 usb 리시버
우선 recalbox 사이트에서 쉽게 설치 할 수 있다.
여러 롬 파일을 포함 해서 5GB정도 공간을 사용했으므로 32기가는 오바인듯 하지만 사실 메모리 가격이 너무 낮아서 그냥 32GB구매 했다.
게임기로서 만족할 만한 수준이다.
단 마메롬 중에 40%는 동작 하지 않는다. retroarch 라는 화면에서 진행 하지 못한다.
fba retro에 복사해서 넣으니 teracresta (독수리 5형제의 경우 잘동작한다.)
해서 모든 롬을 fba libretro에도 복사해 주었다.
게임을 하는것만 하기 때문에 많은 롬중에서 쉽게 찾는 방법 현재 있는 UI보다 좀더 진보되어 바로 가기나 즐겨 찾기 같은 기능이 추가 되었으면 좋겠다.
우선 게임 롬이란 롬은 모조리 다운 받아서 집어 넣었는데 사실 하는 게임만 하고 있다.
미니빔과 연결은 만족스럽게 잘된다.
캠핑가서 밤에 어린이들이 스마트폰 대신 게임을 할듯 하다. 오늘도 낮에 1시간 가량 고전 게임을 즐겼다. 우리집에선 sbox 로 불리며 어린이들이 아주 좋아 한다.
단점은 코디가 xbox 무선 컨트롤러로 되지 않는다. 폭품 검색 결과 라즈베리파이용 kodi에 문제가 잇는 것으로 보인다.
해서 컨트롤러와 무선 키보드나 마우스가 있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로 xbox컨트롤러가 불이 4개가 모두 들어 와 있는 상태로 있으며 진짜 xbox와 연결을 하기 위해 다시 연결 설정을 하면 recalbox와 의 연결을 다시 해줘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라즈베리파이는 용도를 무엇으로 할거냐에 따라 계속 지름신이 오다 말다 오다 말다 했다.
그 이유는 보통 htpc로 이용함에 있어 이미 mac mini 2007년 모델이 존재 하고 있고
현재 저가형 LED TV에 USB 소켓이 있어서 이제 더이상 htpc로 필요성이 많이 줄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게임 에뮬레이터 머신이라면 이야기가 달라 졌다.
xbox 360으로 인해 이미 무선 컨트롤러를 2개 보유 하고 있고
LG 미니빔 PW-700 과 조합하면 모바일 게임기기로 충분 할듯한 생각이었다.
모든 것은 생각 대로 되었다.
구매 물품은
라즈베리파이 2 B 모델 본체
전용 케이스
iptime mini usb 무선랜
메모리 32GB
xbox 360 무선 컨트롤러 usb 리시버
우선 recalbox 사이트에서 쉽게 설치 할 수 있다.
여러 롬 파일을 포함 해서 5GB정도 공간을 사용했으므로 32기가는 오바인듯 하지만 사실 메모리 가격이 너무 낮아서 그냥 32GB구매 했다.
게임기로서 만족할 만한 수준이다.
단 마메롬 중에 40%는 동작 하지 않는다. retroarch 라는 화면에서 진행 하지 못한다.
fba retro에 복사해서 넣으니 teracresta (독수리 5형제의 경우 잘동작한다.)
해서 모든 롬을 fba libretro에도 복사해 주었다.
게임을 하는것만 하기 때문에 많은 롬중에서 쉽게 찾는 방법 현재 있는 UI보다 좀더 진보되어 바로 가기나 즐겨 찾기 같은 기능이 추가 되었으면 좋겠다.
우선 게임 롬이란 롬은 모조리 다운 받아서 집어 넣었는데 사실 하는 게임만 하고 있다.
미니빔과 연결은 만족스럽게 잘된다.
캠핑가서 밤에 어린이들이 스마트폰 대신 게임을 할듯 하다. 오늘도 낮에 1시간 가량 고전 게임을 즐겼다. 우리집에선 sbox 로 불리며 어린이들이 아주 좋아 한다.
단점은 코디가 xbox 무선 컨트롤러로 되지 않는다. 폭품 검색 결과 라즈베리파이용 kodi에 문제가 잇는 것으로 보인다.
해서 컨트롤러와 무선 키보드나 마우스가 있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로 xbox컨트롤러가 불이 4개가 모두 들어 와 있는 상태로 있으며 진짜 xbox와 연결을 하기 위해 다시 연결 설정을 하면 recalbox와 의 연결을 다시 해줘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