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0월 25일 일요일

Windows7 64bit 설치...


vista32에서 windows7 64bit로 바꾸니 성능이 오른다.
원래 윈도우즈7이 많이 가벼워진거 잇기도 하겟지만.
3D 게임 관련 만 떨어지고 프로세서나 하드디스크는 올라간다.
windows7 은 vista에 비해서 매우 만족스러운 퍼포먼스를 보여주는거 같다.

2009년 7월 3일 금요일

Error 13: "Invalid or unsupported executable format"

2.6.28-13 요넘이 부팅이 안된다.
2.6.28-11로 부팅이 가능하다.

이유가 뭘까...

ext3-->ext4로 변경 하고 나서

커널 업데이트가 되었는데.. 그걸로 부팅이 안되는 것이다..

grub-install hd0
를 하고 나니 이제서야 최신 커널로 부팅이 된다.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1192337 <---여기를 참조 하니 그런 멘트가 있더라.

2009년 6월 30일 화요일

soruce insight macro : OpenSourceHeader()

이전에 C파일에서 H파일 H파일에서 C파일로 토클 되는 macro를 만든 적이 있다.
개발 소스 환경이 바뀌어 include 디렉토리가 따로 관리되다 보니 C/H가 같은 경로에 있지 않아
적용 되지 않았다.
소스 인사이트에 풀패스를 주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업글 하였다.
pos 는 .에 위치
pos2는 백슬래쉬에 위치를 찾아
파일이름만 뜯어 내서 거기에 확장자를 붙여 열어 주니 된다.

macro OpenSourceHeader()
{
hbuf = GetCurrentBuf()

bufFileName = tolower(GetBufName(hbuf))
pos = strlen(bufFileName)-1
pos2 = strlen(bufFileName)-1
while(bufFileName[pos] != ".")
pos = pos -1

while(bufFileName[pos2] != "\\") //<--추가된 곳
pos2= pos2 -1


szFileNameOnly = strmid(bufFileName,pos2+1,pos) //<--이름만 얻는다.

szFileExt = strmid(bufFileName, pos + 1, strlen(bufFileName))

if (szFileExt =="c" || szFileExt=="cpp" || szFileExt=="cxx" )
{
openbufFileName = cat(szFileNameOnly , ".h")

hopenbuf = OpenBuf(openbufFileName)
if (hopenbuf == hNil)
{
openbufFileName = cat(szFileNameOnly , ".hpp")
hopenbuf = OpenBuf(openbufFileName)
}

if (hopenbuf == hNil)
{
openbufFileName = cat(szFileNameOnly , ".hxx")
hopenbuf = OpenBuf(openbufFileName)
}

if (hopenbuf == hNil)
{
Msg(openbufFileName)
return
}

SetCurrentBuf (hopenbuf)

}
else if (szFileExt=="h" || szFileExt=="hpp" || szFileExt=="hxx")
{

openbufFileName = cat(szFileNameOnly , ".c")

hopenbuf = OpenBuf(openbufFileName)
if (hopenbuf == hNil)
{
openbufFileName = cat(szFileNameOnly , ".cpp")
hopenbuf = OpenBuf(openbufFileName)
}

if (hopenbuf == hNil)
{
openbufFileName = cat(szFileNameOnly , ".cxxx")
hopenbuf = OpenBuf(openbufFileName)
}


if (hopenbuf == hNil)
{
Msg(openbufFileName)
return
}

SetCurrentBuf (hopenbuf)


}

}

2009년 6월 26일 금요일

.svn 디렉토리들을 제거 하기...

svn으로 관리되는 소스에는 .svn 디렉토리 들이 매 디렉토리 마다 있다.
일단 svn에서 관리 하지 않고 단지 소스를 복사 해서 본다고 하면.
보이지 않는 이 디렉토리들을 제거 하고 싶을 때가 있다.

find . -name .svn -print0 | xargs -0 rm -rf

간단하게 모두 제거 하자....

2009년 6월 20일 토요일

osx에서 xcode 설치 해보고 한번 돌려 봣음


음... 일단 전혀 모르겠음.
걍 UI 디자이너 같은걸로 한번 만드러 보고 빌드만 해봣음.
나중에 Iphone 이나 ipod이 있음 꼭 해보고 싶음


2009년 6월 16일 화요일

ubuntu ext3->ext4

9.04에서 ext4를 지원한다.
업그레이드를 한것으로 ext3 상태이다.
인터넷을 보니 ext4가 성능이 더 좋다 하길래 감행 하였다.

1. 먼저 GRUB 부팅에서 recovery를 선택
다음 메뉴에서 root 머시기를 선택

fdisk -l 을 해서 먼저 ext4로 변경 할 /dev/sdaN을 확인 한다.

내경우 /dev/sda5, /dev/sda2였다.

변경후 fstab을 다시 마운트 해서 수정 해라고 했지만 실제로 해보니 read only라면서
마운트 포지션을 만들지도 못하고 마운트 못하는 경우가 집에 laptop에서 발생 했다.

그래서 순서를 변경

먼저 vi로 fstab을 변경 ext3->ext4

그리고
umount /dev/sda2
umount /dev/sda5

해준다음

tune2fs -O extents,uninit_bg,dir_index /dev/sda2
tune2fs -O extents,uninit_bg,dir_index /dev/sda5

한다음 (이미 변경)

아래와 같이 검사

fsck -pDf /dev/sda2
fsck -pDf /dev/sda5

좀오래 걸림

재부팅

ext4로 변경 되고 재부팅 잘됨

성능은 얼마나 좋아 졌는지 모르지만

그냥 한번 변경 해 보았는데.. 지금 까지는 특별한 문제 없이 잘 동작 함..

2009년 6월 12일 금요일

DSN 이름 으로 부터 IP, PORT, USERNAME, DB NAME, NLS_USE 등 얻기

레지스트리에서 DSN이름으로 아래의 정보를 구할수 있음


#include <registry.hpp>

..... 아래처럼 함수를 구현 한다. ....


/DNS 으로 부터 기타 정보 얻기 IP, NAME, ...
//registry HKEY_LOCAL_MACHINE\SOFTWARE\ODBC\ODBC.INI\DSN

TRegistry* reg = new TRegistry(KEY_READ);
reg->RootKey = HKEY_LOCAL_MACHINE;
reg->OpenKey("SOFTWARE",FALSE);
reg->OpenKey("ODBC",FALSE);
reg->OpenKey("ODBC.INI",FALSE);
reg->OpenKey(cbboxDSNList->Text,FALSE);
edtServer->Text = reg->ReadString("Server");
edtDatabase->Text = reg->ReadString("Database");
cbboxNLS->Text = reg->ReadString("NLS_USE");
edtPasswd->Text = reg->ReadString("Password");
edtPort->Text = reg->ReadString("Port");
edtUserName->Text = reg->ReadString("User");